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주식,경제]미 연준 3월 22일 FOMC, 파월 발언 요약 정리(금리 인상)

by 심플냠 2023. 3. 23.
반응형

연준이 3월 22일 FOMC에서 0.25%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이번 금리 인상은 시장의 예측대로였으며, 파월은 미 은행은 안전하다고 안심시키는 발언을 수차례 했습니다. 하지만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의 발언으로 미국 증시는 하락세를 그리며 마감합니다. 어떤 내용이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파월 발언

1. 금리 인상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 2%는 변함이 없으며, 2주간의 은행 사태로 금리 동결을 고려해 보았으나 인플레이션과 노동 데이터가 강하기에 몇 번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본다."  우선 3월 FOMC를 통해 0.25%포인트 금리 인상을 하였고, 몇 번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는 발언을 했습니다. 이전의 지속적(on going)에서 -> 몇 번의 추가적인(some additional)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금리 인상이 끝나감을 암시합니다.
 
2. 금리 인하는 없다
"인플레이션 하락이 천천히 이뤄진다면 올해 금리인하는 없다는 생각이다. 금리인상 중단 후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면 그렇게 할 것이다.”  인플레이션, 노동 지표의 둔화가 점진적이므로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고 말해,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시장과의 괴리를 보여줬습니다. 시장은  6월에 0.25%p 금리인하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죠.
 
3. 은행 파산과 경기 둔화 가능성
"은행 파산 사태가 가계와 기업의 신용을 긴축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는 노동시장 수요와 인플레이션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아직 그 영향을 평가하고 통화 정책 대응에 대해 말하기는 이르다. 금융시장 상황 긴축되어 있으나, 소프트랜딩의 길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은행 불안으로 침체 가능성에 대해 언급합니다. 지역은행발 대출, 신용 감소에 대한 우려를 대한 내용입니다. 뱅크런으로 유동성이 부족해진 지역 은행이 대출을 줄이게 되면 경기위축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은행 위기 상황이 확산될 시 통화 정책을 바꿔 내놓을 수도 있을 듯합니다. 
 
4. 미국 은행은 안전?
"SVB는 경영실패, 리스크 관리를 못했다. 미국 은행 전반의 시스템은 건전하고 예금자를 보호할 도구가 있다. 예금자들은 예금, 은행 시스템을 안전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미국 은행이 안전하고, 예금자를 보호할 수 있다며 안심시키는 발언을 수차례 했습니다.
 

반응형

옐런 발언

지난 21일 옐런 장관은  “미국 은행 시스템이 건전하다”고 강조하며 , “소규모 기관의 새로운 실패로 금융 안정에 위험이 초래될 경우 추가적 구조 조치가 반드시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은행 연쇄 파산 후 불안감을 진정시키는 모습이었습니다. 
하지만 22일 의회에서 전혀 다른 발언을 합니다. 옐런은 “작은 은행이나 지역 은행의 파산은 더 큰 은행의 파산만큼이나 뱅크런을 촉발할 수 있다”면서도 “모든 무보험 은행 예금에 대한 보증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파월 의장이 은행은 안전하다고 했던 발언과 반대되는 언급으로, 투자자들을 불안으로 몰고 갔습니다. 이 발언과 함께 미 증시는 아래로 미끄러지며 마감합니다.
 
 
파월과 옐런 재무부 장관의 발언으로 투자자들에게는 상당한 불안한 미국 증시였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있는 시점의 한국의 시장은 아이러니하게 상승세를 보이네요. 추후 증시가 어떤 방향으로 갈지 예측이 안 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미 정부의 조치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